본문 바로가기
붕어낚시이론

낚시 포인트 선정 공통 사항

by 찌르가즘TV 2023. 2. 28.
728x90
BIG

포인트 선정 시 공통 사항

붕어 낚시에 있어서 포인트 선정할 때 필요한 공통적인 내용입니다. 아래 설명하는 내용에 해당되는 포인트가 있다면 포인트로써의 가치가 있는 곳입니다 

1. 수심 1m 전후 유망한 포인트가 많다
2. 물색이 탁한 곳을 택하다
3. 수초를 선택해라

수심1m 이내의 유망한 포인트

낚시터 전체적으로 수심이 아주 깊거나 아주 낮은 저수지가 있지만 적절한 수심대를 가지고 있는 낚시터는 분명히 많다

앞선 시간에도 설명한 부분이지만 수심이 1m 전후인 곳이 좋은 이유는 햇빛이 영향을 미치는 수심대가 1m ~ 1m 50권이다.

즉 일조량의 영향으로 플랑크톤과 수서곤충 생물이 그러한 수심대에 생겨나고 머물게 된다. 그리고 부들과 갈대가 자라는 수심대가 60cm ~ 80cm이다. 결과적으로 이야기한다면 정수수초인 부들과 갈대가 있고 그곳에 붕어의 먹이가 자라난다면 은신처와 식당이 같이 존재하는 것이다.

수심이 낮은 상류와 연안 근처는 대류현상의 영향으로 하절기의 과도한 수온상승 있게 되면 중심부의 찬물이 밀고 올라오고 동절기에는 중심부의 따뜻한 물이 밀고 올라온다.

붕어의 적정활동 수온은 18℃라고 하지만(일반적인 기준) 하절기나 동절기의 수온 변화에 따라 움직이게 되면서 먹이활동을 하게 된다.

 

수초대를 선택한다

붕어는 일생을 수초를 끼고 생활한다고 한다. 포인트를 선정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되는 부분이 수초이다.

포인트를 선정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붕어가 있을 만한 곳을 선정하는 것이다. 즉, 입질을 받을 확률이 높아 보이는 곳을 선정한다는 말이다. 

수초가 있다고 해서 모든 포인트에서 만능은 아니다. 수초대를 선정해도 고려해야 하고 회피할 장소는 있다. 그 부분에 대해서는 뒤에 이야기하기로 한다.

 

물색이 탁한 곳을 택한다

물색이 맑은 곳은 붕어가 머물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색이 맑다는 것은 아직 플랑크톤이 자랄 만큼의 수온이 형성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낚시터에 도착해서 바라보면 같은 저수지라도 물색이 차이가 나는 곳이 있는데 가능하다면 물색이 좀 더 탁한 곳을 선정하는 것이 좋다.

물색 또한 무조건 탁한 것만이 만능은 아니다. 물색을 보고 판단할 때도 고려할 부분이 있는데 뒤에 같이 이야기하기로 한다.

728x90
BIG

'붕어낚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초 작업 part.01  (0) 2023.03.09
포인트 선정에서 회피할 사항  (0) 2023.03.02
계절에 따른 낚시터 선정  (0) 2023.02.24
붕어 낚시 장소 선정  (0) 2023.02.22
붕어의 움직임의 습성(비, 달, 수초)  (0) 2023.02.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