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라는데 하루 비오고 2일 겁나 덥고 장마가 맞긴 하는지 의문이 드는 요즘
장마 후 보낚시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합니다
일단 보의 의미 먼저 알아 보아야 하겠죠?
보(洑) : 가뭄에 대비하거나 주변 농경지에 물을 대기 위해 강이나 하천에
둑을 쌓고 흐르는 냇물을 막아 두는 저수시설.
강이나 하천에 둑을 쌓아 흐르는 물을 막아 두는 역활을 하는 것이 보입니다
여주의 여주보 등은 발전 시설도 가지고 있는 보죠
장마가 끝난 후 보에서 낚시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물이 안정되어가고 있는 시기와 장마 후 가을로 접어드는 시기에 은근히 보 낚시가 잘 되는 편이기도 합니다
큰 비가 온후라면 하류나 강의 중심에 있던 붕어들이 샛강이나 지류를 타고 올라와서 소(消)나 보(洑)의 안정된 물흐름이 있는 곳에 정착하여 먹이 활동을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통설입니다
그 예로 장마 후 강의 소消에서 넣으면 나오는 포인트들이 있기도 하고 필자가 서식하는 원주천의 끝자락에도 이러한 소에서 마릿수 조과를 보기도 하니까요
큰 비가 온 후 상류로 올라온 붕어들은 늦가을까지도 소나 보에 머무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래서 늦가을 까지도 강계는 낚시가 잘 되는 이유이기도 하죠
큰 비가 온 후 보낚시 포인트 선정
대부분의 보는 중상류는 물의 흐름이 심한편이고 하류로 갈수록 물의 흐름이 약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보통은 하류의 보 근처에서 낚시가 많이 이루어지죠? 그렇다고 중상류라고 해서 낚시를 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중상류의 만곡진 부분은 물의 흐름을 막아주는 곳이 많고 큰 바위나 돌이 있는 곳 또한 물의 흐름을 막아주는 곳이 있습니다 이러한 만곡진 부분의 옆에는 또 다른 곳보다 수심이 깊게 나오는 자리들도 있습니다
여울이 끝나는 부분은 유속이 약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여울이 끝나는 부분에 수초가 있다면 그러한 곳은 물의 흐름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한 곳이 됩니다
그러나 물의 흐름이 거의 없어 찌낚시를 한다 하더라도 바닥이 깨끗한곳, 전반적으로 평평한곳, 주변보다 깊은 곳 이 세가지에 유념하여 포인트를 선정한다면 좋은 명당 포인트라고 할 것입니다
물색이 적당히 흐른 곳은 아침 저녁으로 낚시가 잘 되며 황토물이 흘러 든다면 합수머리가 되는 곳이 좋은 포인트가 됩니다
'붕어낚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바늘 채비 (0) | 2023.07.02 |
---|---|
좌대 낚시 Q & A (0) | 2023.06.29 |
장마와 붕어낚시 (0) | 2023.06.26 |
장마 그리고 새물찬스 (0) | 2023.06.25 |
낚시 미끼 part 01 (0) | 2023.03.22 |
댓글